본문 바로가기

책상에 앉아/서랍장 (국어/교육)

[국어] 『한국의 언어』. 이익섭 (요약)





■ 한국의 문자

․ 한국어 창제 1443년(또는 1444년) / 음소문자 (phonemic writing)

․ 문자 생활의 오랜 역사 : 구텐베르크(1440)보다 앞선 1234년 활자 인쇄 기록, 1337년 금속활자 문헌 보존

․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표기하는 이두 : 5세기경부터 사용 (참고 : 신라의 향가(25+1수))

․ 언문일치 운동으로 19세기부터 본격적인 한글사용

 

■ 한국어 계통

․ 터키어, 몽고어, 퉁구스어와 함께 알타이어족에 속할 가능성이 큼

․ 알타이어족 ∽ 한국어 ∽ 일본어 (≠중국어)

특징) ① 교착어 (참고 : 고립어(중국어), 굴절어(영어), 교착어(한국어)) - 굴절 접미사 ② 모음 조화 ③ 두음 법칙 ④ 관계 대명사와 접속사가 없다 ⑤ 문법적인 ‘성(性,) 수(數’)가 없다 ⑥ 어휘 및 문법 형태의 비교가 가능 : 음운·어휘·문법 대응

 

■ 한국어의 유형적 특징

․ 영어 : SVO 언어 / 한국어 : SOV 언어 : 동사문말언어 (verb-final language)

․ 영어 : 전치사적 언어, 오른쪽 가지치기 언어 / 한국어 : 후치사적 언어, 왼쪽 가지치기 언어

․ 한국어 : ① 교착어로 조사와 어미가 발달 (시제, 서술유형, 경어법 등 어미가 주요한 문법적 기능) ② 수식어(앞) + 피수식어(뒤) ③ 경어법 발달 ④ p-b, t-d, s-z, ʧ-ʤ, k-g 대립이 없는 대신 평음, 경음, 격음 (p-pˊ-pʰ) 대립

 

■ 문자

․ 한글 - 음소문자(音素文字), 즉 자모문자(字母文字)

  기본자모 24자 (자음 14자, 모음 10자)/40자 (자음 19자, 모음 21자)

<자음> ㄱ(기역)[k] ㄴ(니은)[n] ㄷ(디귿)[t] ㄹ(리을)[r] ㅁ(미음)[m] ㅂ(비읍)[p] ㅅ(시옷)[s] ㅇ(이응)[ɳ] ㅈ(지읒)[ʧ] ㅊ(치읓)[ʧʰ] ㅋ(키읔)[kʰ] ㅌ(티읕)[tʰ] ㅍ(피읖)[pʰ] ㅎ(히읗)[hʰ]

<모음> ㅏ(아)[ɑ] ㅑ(야)[jɑ] ㅓ(어)[ə] ㅕ(여)[jə] ㅗ(오)[o] ㅛ(요)[jo] ㅜ(우)[u] ㅠ(유)[ju] ㅡ(으)[ɨ] ㅣ(이)[i]

․ 최세진「훈몽자회」(1527) 예) 비읍‘非邑’, 기역 ‘役(역)’, 디귿 ‘末(귿 말)’, 시옷 ‘衣(옷 의)’(당시 ㅈ,ㅊ,ㅋ,ㅌ,ㅍ,ㅎ 들은 종성 사용 안함)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지읒, 치읓으로 확정

․ 한글창제 당시 「세종실록」과 제자원리상 기본자모로 24자하지만 음소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현실에 맞게 40자로 보는 것이 올바름

․ 가나다순 : 자음(19) - ㄱㄲㄴㄷㄸㄹㅁㅂㅃㅅㅆㅇㅈㅉㅊㅋㅌㅍㅎ모음(21) - ㅏㅐㅑㅒㅓㅔㅕㅖㅗㅘㅙㅚㅛㅜㅝㅞㅟㅠㅡㅢㅣ

․ 모아쓰기 : 음절 단위로 묶여 철자(綴字)자음, 모음(‘ㅣ’자는 오른쪽, ‘ㅡ’자는 아래), 받침(쌍받침, 겹받침)

참고) 한글자모의 순서 역시 음절 단위로․ 1st. ㄱㅏㄱㅅㅣ 2nd. ㄱㅏㅎㅜㄴ (×) / 가 각 간 갇 갈 감 … 개 객 갠 … (○)․ 1st. ㅍㅏ 2nd. ㅇㅏㄱㅣ (×) / 1st. ㅇㅏㄱㅣ 2nd. ㅍㅏ (○)

 

․ 한글창제 → 「훈민정음」(1446) : ‘팔종성법(八終聲法)(ㄱ,ㄴ,ㄷ,ㄹ,ㅁ,ㅂ,ㅅ,ㅇ)’ → ‘칠종성법(‘ㄷ’제외)’ → 20세기 「한글 맞춤법 통일안」(1993) 모든 자음 표기

․ 음소적 표기법/표음주의 표기법 → 형대소적 표기법/표의주의 표기법 

․ 현행 한글 표기법은 ‘형태소적, 표의주의 표기법’ 경향

- 동화와 조사 경우 분철표기

- 접미사 경우는 ‘-이’, ‘-음’ 일 때에만 분철표기 (생산성 大)

(a) 웃음, 울음, 높이, 깊이

(b) 무덤(묻-엄), 마개(막-애)너무(넘-우), 도로(돌-오)지붕(집-웅), 바깥(밖-앝)

․ 불규칙 활용에서 예외도 많음 (≒표음주의도 알맞게 활용)

․ 띄어쓰기 : 단어 단위로 띄어 쓰되 조사는 앞 단어에 붙여 쓴다표음문자에 의한 표의화로서 한글 평가 의의

 

■ 한글의 역사

․ 「세종실록」권 102 세종 25년 12월(세종 25년은 음력으로 12월 10일까지는 1443년, 11일부터는 1444년)

․ 훈민정음 ≒ 언문 ≒ 정음 ↔ 한문과 구별 / 20세기 들어서 ‘한글’사용 (1913년 주시경)

․ 한글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1446년 음력 9월 상순 「훈민정음」 (≒「훈민정음 해례본」)

․ 창제년은 1443년(또는 1444년) 반포일은 1446년 음력 9월 상순의 마지막 날

․ 한글날 : 10월 9일

 

■ 한글의 제자원리

․ 아음(牙音)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 설음(舌音) ㄴ은 혀가 윗잇몸에 닿는 모양, 순음(脣音) ㅁ은 입 모양, 치음(齒音) ㅅ은 이의 모양, 후음(喉音) ㅇ은 목구멍 모양

ㄱ→ㅋ / ㄴ→ㄷ→ㅌ(ㄷ→ㄹ) / ㅁ→ㅂ→ㅍ / ㅅ→ㅈ→ㅊ(ㅅ→ㅿ) / ㅇ→ㆆ→ㅎ(ㅇ→ㆁ)
․ 모양이 둥근 것은 하늘을 본 뜬 것 : 天, 모양이 수평으로 평평한 것은 땅을 본 뜬 것 : 地, 모양이 곧게 선 것은 사람을 본 뜬 것 : 人

ㆍ+ㅡ→ㅗ, ㅣ+ㅗ→ㅛ / ㆍ+ㅣ→ㅏ, ㅣ+ㅏ→ㅑ / ㆍ+ㅡ→ㅜ, ㅣ+ㅜ→ㅠ / ㆍ+ㅣ→ㅓ, ㅣ+ㅓ→ㅕ

 한글자모 28자 : 자음글자 17자는 먼저 기본 5자 - 발음기관의 모양 모음글자 11자는 먼저 기본 3자 - ‘ㆍ, ㅡ, ㅣ’ 참고) 순경음 [ɮ] (ㅂ[p])각자병서 ㄲ,ㄸ,ㅃ,ㅆ,ㅉ,ㆅ

 

■ 한자의 이용

․ 차자표기법 : 한자 차용 표기법 (고유명사 표기 필요)예) 길동 - 吉同, 거칠부 - 居柒夫, 밤고개 - 栗峴

․ 향찰 : 한국의 문장으로 표기 (적극적 차자표기법) / 향가 : 신라의 정형시대개 명사나 동사의 어간과 같은 실사(實辭)는 한자의 훈을 이용조사나 어미와 같은 허사(虛辭)는 한자의 음을 이용한자의 음을 이용하여ㅕ 받침을 표기하기도 (말음첨기)한국어 어순, 조사나 어미를 충실히 표기, 받침 표기한문의 위세와 번잡성으로 신라시대만 사용 (고려초 소멸)

․ 구결 : 보조적 요소들의 첨가 (소극적 차자표기법)예) I love you → I가 Love you한다

․ 이두 : 속한문에서 향찰 방식으로 발전 (중간적 차자표기법)

예) I love youI-ga love you-handa : 구결nayga norul saranghanda : 향찰I-ga norul love-handa : 이두nayga you-lil saranghanda : 이두

 

■ 한문과 한자

「동국정운」(1447) 한자음을 중국어식의 발음으로 교정한 발음사전

1894년 갑오경장을 전후 우리 것 자각 / 12월 모둔 공문을 국문으로 칙령 (비록 한자투성이)

1886년 4월 창간 「독립신문」순한글

1910년 언문일치 운동

한사사용 감소하고 있으나 중구어로부터 들어온 많은 차용어에 한계